-
목차
300x250세계 경제의 기원
고대 경제사 上
THE ORIGIN OF THE WORLD ECONOMIC
1권
홍익희의
유대인
경제사
JEWISH ECONOMIC HISTORY
베스트셀러 《유대인 이야기》의 완전판 (전10권)
1판 1쇄 발행 2015년 9월 15일
1판 2쇄 발행 2015년 9월 20일
펴낸 곳 한스미디어(한즈미디어(주)) www.hansmedia.com
Ⅰ 아브라함 시대의 다신교 사회
19 유대인의 역사를 기록한 책이 있다. 바로 구약성서이다.기원전 5세기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가 쓴 책 《역사》
20 수메르 학자 새뮤얼 크레이머가 쓴 《역사는 수메르에서 시작되었다》
01 인류 최초의 도시, 예리코
21 고고학 발굴에 의하면, 인류 최초의 도시는 가나안Canaan에 세워졌다.인간이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요소가 물과 식량, 불 이외에도 2개가 더 있는데, 소금과 땔감이 그것이다.
23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도시 예리코Jericho
24 성서에서는 이 도시를 '종려나무의 도시'라 부른다.
지금도 예리코 오아시스 근처에는 종려나무가 많다. 일명 대추야자나무로 불리는 종려나무는 광야에서 먼 길을 가는 사람들의 필수불가결한 귀중한 식량이다. 큰 나무는 연 200~250kg의 열매를 거의 100년간 생산한다.
26 황하 문명보다 훨씬 앞섰던 홍산 문화紅山文化도 그 주변에 염수가 있어 가능했다.
02 고도로 발달한 수메르 문명
28 수메르어로 유프라테스 '큰 하천', 티그리스는 '창처럼 빨리 흐르는 하천'이라는 뜻이다.29 그 무렵 원시 공동체에서는 모두가 평등했다. 그러나 농경생활을 시작하여 남는 식량, 곧 잉여 생산물이 발생하면서 이를 두고 싸우기 시작했다. 빈부의 차가 생기기 시작한 것이다. 그 뒤 사유제도가 나타나 수메르에서는 밀 생산량에 따라 계급이 달라졌다.
;; 그래서 넘침보다 모자람이, 채움보다 비움이 중요함을 여러 성인들이 강조하는 구나ㅠ♡
수메르 문명은 세계에서 오래된 문명
그리스어인 메소포타미아는 '강 사이에 있는 땅'이란 뜻으로 '강가의 뜻'이라는 뜻의 '이라크'와 같은 의미다.
32 문명사를 들여다보면 문명은 풍요로운 곳이 아닌 이런 척박한 환경에서 발전했다.
38 우리가 수메르 문명의 것이라고 사진을 통해 보는 대부분의 유물이 우르의 것이다.
41 청동기 시대를 수메르인이 열었다.
42 무기가 대량으로 생산되자 사람들은 다른 지역으로 쳐들어가 필요한 걸 빼앗아 오는 게 농경과 수렵보다 세력을 더 빨리 늘리는 방법이 되었다. 이로써 전쟁이 빈번해졌다.
44 수메르 문명이 인류에게 무려 100가지가 넘는 '최초의 것'들을 선물했다. 문자, 바퀴, 고층 건물, 음악과 악기, 야금술, 의학, 조각, 보석, 도시, 왕조, 법률, 사원, 기사도, 수학, 천문학, 달력 등이다. 그 가운데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이 문자다.
45 우리말과 뿌리가 같은 교착어
인류의 언어 3가지로 나뉘는데, 고립어, 교착어, 굴절어가 그것이다.
58 기하학과 수학의 발전
이러한 성스러운 숫자라는 개념은 곧잘 신비주의와 결합되었다. 피타고라스는 만물의 근원을 '수隧'로 보고 수의 비밀을 연구하는 데 평생을 바쳤다. 유대교 신비주의 카발라Kabalah도 성서에 쓰인 히브리어 단어의 숫자 속에 비밀이 감추어져 있다고 보았다. 위대한 과학자 다빈치나 뉴턴조차 카발라 연구에 말년을 보냈다.
과학의 첫걸음, 천문학
천문학은 동서양 가릴 것 없이 가장 먼저 태동한 학문이다. 초기에는 점성술 분야가 중요시되었다. 과학사가들은 신비철학, 곧 비학秘學이 근대과학의 모태였음을 강조한다.
음력을 기초로 한 유대인의 히브리력
60 천문학과 수학의 발달로 이어져 역법을 알아냈다.
62 유대 역사가 요세푸스의 《유대 고대사》는 아브라함이 천문학에도 조예가 깊었다고 적고 있다.
* 강영수 《유대인 오천년사》, 청년정신, 2003
63 우리가 사용하는 달력을 만든 것도 그딜이요,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별자리에 이름을 붙인 것도 그들이었다. 무엇보다 놀라운 점은 수매르인이 사용하던 달력은 일식, 월식의 기록은 물론 행성들의 세세한 움직임도 알고 있었다는 것이다.
수메르 외계 문명설
68 심지어 외계 문명설도 있다. 고고학자 제카리아 시친은 그의 저서 《수메르, 신들의 고향》에서 수메르 문명이 외계인에 의해 전파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우리와 유사한 풍속들
70 수메르Sumerian은 '검은 머리 사람들Black Headed People'라는 뜻이다.
03 역사를 증언하는 고고학 발굴
최초의 발굴품, 사람 얼굴에 날개 달린 짐승73 현대 고고학 발굴의 효시였다. 폴 에밀 보타의 '땅 파기'에 프랑스는 열광했다.
니므루드 발굴
79 * 고대도시: 사진 - 출처: www.encyber.com
니네베와 그 폐허들
88 레어드는 사진의 발굴기록을 적어 《니네베와 그 폐허들》이란 책을 출간했다.
사원이 은행 역할도 하다: 점도판 영수증이 환어음
90 김학은, 《돈의 역사》, 학민사, 1994
18년간 사막을 파헤쳐 '바벨탑'을 찾아낸 고고학자들
92 이것을 '높은 곳'을 뜻하는 지구라트라 부른다.
가장 완벽한 지구라트 발견
95 난나 달의 신
고고학 연대기
101 김진영 《수수께끼의 고대문명》, 넥서스, 1996
04 수메르 문명 당시의 문란했던 사회상
수메르 신화, 후대 민족들에게 큰 영향을 끼치다
104 장영란 지음, 《위대한 어머니 여신》(살림지식총서011), 살림, 2003 등
Ⅱ 영원한 계약
01 유대인의 역사는 성서와 궤적을 같이 한다.
유대인의 경전 모세오경, 토라127 오늘날 토라를 경전으로 삼고 있는 종교는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이다. 한 뿌리의 세 종교이다.
02 유대인의 역사는 세계 경제사와 궤적을 같이한다
진화, 단계별로 이루어지는 또 하나의 창조: 티쿤올람 사상139 티쿤올람이란 유대교 신앙의 기본 원리 가운데 하나로 '세계를 고친다'는 뜻의 히브리어다.
고대는 기술사가 곧 경제사다
기원전 6500년 가장 먼저 채취된 구리
141 인류의 본격적인 경제사는 금속의 발견으로부터 시작된다.
재미있는 광물, 주석과 아연
143 특히 주석을 소지하면 백년해로하고 행운이 찾아온다는 속담이 있다.
금의 역사, 연금술이 화학을 발전시키다
146 연금술: 근대과학 기술의 모태
03 유대인의 조상 아브라함이 맺은 영원한 계약아브라함을 통한 구원의 역사
히브리, 강 건너에서 온 사람들
151 가나안 사람들은 그때부터 그들을 히브리(헤브라이) 사람들이라고 불렀다. '유프라테스 강 건너에서 온 사람들'이란 뜻이다.
아랍인의 조상 이스마엘이 태어나다
이스마엘은 '하느님께서 들으심'이라는 뜻이다.
아브라함이 맺은 영원한 계약
계약의 민족
152 나는 그들의 하느님이 되어주리라." (창세기 17:4-8) '아브라함'에서 '아브'는 아버지라는 뜻이고 '함'은 민족이라는 뜻이다. 곧 그를 '민족의 아버지'로 세우신 것이다.
이사악이 태어나고 이스마엘이 쫓겨나다
154 아브라함이 종교를 이사악을 통해 전수받은 사람들이 유대인들이라면, 이스마엘을 통해 전달받은 사람들이 바로 이슬람들이다.
Ⅲ 예정되어 있던 고난의 역사, 엑소더스
02 수메르에서 아카드를 거쳐 바빌로니아로
바빌로니아 왕국의 탄생과 함무라비법전175 바빌론 '신의 문'이라는 뜻
기원전 2000년경부터 개별 문명권에서 성장한 강국들이 서로 연관성을 갖기 시작했다. 바빌로니아, 이집트 왕국, 소아시아의 히타이트, 에게 문명의 크레타 등 이들은 때로는 전쟁을 통해, 때로는 외교적 교류와 평화적인 교역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국제사회를 형성했다. 글로벌 경제의 태동이었다.
함무라비법전, 발달된 경제제도를 반영하다
177~9 그는 수메르 우르남무법전을 계승한 법전을 제정하여 '함무라비번전'을 반포했다. 법전의 정신은 약한 자가 억울한 일을 당하지 않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함무라비법전, 사회질서를 법치제도 아래 둔 큰 진보
인간이 복수가 아닌 보상을 정의의 원칙으로 받아들였다는 것은, 복수 감정의 기초가 되는 증오심을 극복했다는 것을 뜻한다.
감정보다는 이성을 따랐다는 의미다. 이는 분명 인간 역사의 발전이었다. 그것도 아름다운 발전이었다. 사회질서를 법치제도 아래 둔 큰 진보였다.
함무라비법전의 상당 부분이 경제조항
옛날부터 국가와 법의 발전은 경제 활동의 발전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었다.
03 나일 문명에 기여한 유대민족
나일강의 선물, 이집트이집트 중왕국: 이륜전차의 출현과 힉소스 왕조
189 힉소스란 '유랑의 왕자'라는 뜻으로 원래 유목민족이다.
04 유대민족 전체가 건설노예가 되다
건설노예가 된 유대민족파라오의 유대인 말살정책
196 훗날 유대인을 이끌고 이집트에서 탈출한 모세의 이름은 바로 '강물에서 건진 아이'라는 뜻이다.
유대인 건설노예들이 지은 신전들
199 요즘 관광객들이 보는 이집트 신전 건축물 대부분이 그때 유대인 건설노예들에 의해 지어진 것이다. 유대인들을 이용하여 여러 도시 건설은 물론 고대 왕국의 피라미드 건설 이후 이집트 역사상 가장 많은 건축물이 건설되었다.
05 엑소더스
율법과 십계명예정되어 있었던 고난의 역사
220 쇠는 뜨거운 불 속의 풀무질과 담금질을 반복함으로써 더 단단해지고 예리해진다. 실질이 강해지는 것이다. 하느님은 유대민족을 혹독한 시련을 통해 단련시키셨다.
Ⅳ 페니키아, 히브리, 그리스의 상권각축
01 철기 문명의 탄생과 인류 대이동02 가나안 사람들, 해상무역을 주도하다
자유와 창의성이 보장되는 곳에서 경제발전이 이루어진다236 이들을 서로 관통하는 키워드는 '자유와 개방'이었다. 이들이 서로 주고받은 시너지 효과는 대단했다.
03 페니키아
소금과 백향목이 지중해 역사를 움직이다가나안 사람들, 최초의 해상교역을 시작하다
239 레바논 산맥은 겨울에는 눈 때문에, 여름에는 석회암 때문에 하얗게 보인다고 해서 '레바논(흰 산맥'이라고 불렸다.
페니키아 무역, 소금으로부터 유래되다
240~1 소금은 인류에게 재화를 얻는 중요한 방법을 하나 더 발명하도록 했다. 그것은 거래였다. 거래는 시장을 형성시켰고, 시장의 형성은 도시를 낳았다.
페니키아 최대 수출품목, 백향목
243 레바논 삼나무는 그 크기가 웅대하다. 나무의 높이 40m, 둘레는 4m에 달하고 오래된 것은 수령이 3000년이나 된다. 지금은 귀한 나무이지만 당시에는 수량이 풍부했다.
244 피니키아인들은 백향목으로 대형 배를 만들어 먼 거리 항해를 주도했다. 지금도 레바논 국기 한가운데는 그들이 자랑하는 삼나무 그림이 들어 있다.
가나안 해변의 도시국가들이 탄생하다
245 서양 문명의 시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그리스 문명보다는 페니키아 문명에 도달하게 된다. 오리엔트 문명과 서양 문명의 다리 역할을 한 것이다.
비블로스 시대
페니키아 최초 항구, 비블로스
247 기원전 4000년경에 건설된 비블로스는 알카벳의 기원이 된 페니키아 문자를 남긴 것으로 유명한 도시다.
;; 진짜?! 와우~~
또 도시 이름 자체가 그리스어로 파피루스라는 뜻이다.
페니키아의 항해술
249~250 지도나 나침반이 없었던 고대의 항해자들은 육지를 시야에서 놓치는 것을 두려워하였다. 항해자들이 육지를 놓쳤을 경우에는 미리 준비해둔 육지에 살던 새를 날려 보내 그 새가 하늘 높이 날아 올라가서 육지를 발견하고, 그 육지를 향해 날아가면 그 새를 따라 돌아 갈 수 있었다. 결국 이것을 반복하면서 움직이지 않는 구름 밑에 섬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것은 섬이 태양에 의해 가열되어 상승기류가 발생하면 산꼭대기의 윗부분에 삿갓 모양의 구름이 생기기 때문이다. 또한 밤에는 별을 보고 방향을 알았다.
그들은 심지어 야간항해라든지 원양 항해를 처음 시도했다.
페니키아 문자의 진화, 알파벳
251~2 장사한 내용을 기록하기 위해, 또 오랜 기간 집을 떠나 장사를 하던 이들이 집에 소식을 전하기 위해서는 글자가 필요했다.
그들이 개발한 페니키아 문자는 그리스 알파벳의 모체가 되었다.
그리스어로 쓰인 최초의 서사시가 호메로스의 <일리아드>와 <오디세이>다.
시돈 시대
금값보다 비싼 자색 염료
255 당시 자색 염료는 금값보다 비싸 이집트로 수출되었다. 고대 이래로 자색은 하도 귀해 중세에는 추기경의 색깔이라 하여 '최고의 영광'을 의미했다.
보안이 워낙 철저한 나머지 비잔틴 제국이 멸망함과 동시에 자색 염료의 생산법도 사장되고 만다. 이후 황제와 추기경의 색이 자색에서 붉은색으로 바뀌게 된다. 당시 왕들은 일반 평민은 이 색깍을 입거나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다. 중세까지만 해도 서구 사람들은 붉은색 모직 한 번 입어보는 게 소원이었다. 여기서 중요한 사람을 예우하는 레드카펫이 유래됐다.
최초의 유리 발명
256 유리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 기원전 1세기 고대 로마 플리니우스 《박물지The Natural History》제 36궨에 나와 있는 내용이다.
페니키아, 지중해를 석권하다
263 ~4 그렇다면 어떻게 페니키아인들은 배를 타고 아프리카, 잉글랜드 등지로 무역활동을 할 수 있었을까? 기원전 5세기 그리스의 역사학자 헤르도토스는 그 이유가 바로 '금'이라고 했다. 금을 얻기 위해 두려움도 이겨내는 용기를 가졌던 것이다.
04 히브리
다윗 시대다윗에 대한 성서의 특별한 입장
283 다윗은 자기 생애에 너무나도 파란곡절이 많았기 때문에 아들 솔로몬의 치세에는 평안할 것을 기원했다. 그래서 아들의 이름을 '평화'라는 뜻의 솔로몬이라 했다.
북쪽 이스라엘 왕국, 우상숭배로 멸망하다
아시리아, 세계 최초의 기마부대를 선보이다
314 역사를 보면 국력은 항상 전술의 진보와 함께했으며 전쟁 기술의 발달과 비례했다.
05 그리스
도시국가들의 연합체로 성장하다그리스, 상업과 교역을 유대인과 페니키아인에게 맡기다
323 그리스 학문의 아버지로 불리는 텔레스와 피타고라스가 모두 페니키아인의 후예였다는 사실은 페니키아 문화가 당시 그리스 문화보다 월등했음을 알려준다.
아테네 은화, 기축통화 되다
화폐 전성시대의 도래
338 기원전 4세기 아리스토텔레스는 당시 교엑에 쓰였던 화폐의 기원을 다음과 같이 명료하게 기술하고 있다.
솔론의 개혁
민주주의 패러독스, 부와 노예제도 위에 탄생한 민주주의
344~5 아테네가 이렇게 직접민주주의 정치체제를 갖출 수 있었던 것은 풍요로운 국부와 노예제도가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아테네에서는 국유재산 가운데 국가에서 필요한 분량 이외의 잉여분은 시민에게 분배하는 관습이 있었다. 시민들은 노동을 안해도 풍족하게 먹고살 수 있었다. 게다가 당시 한 집에 2~3명 이상의 노예들이 있어 그들이 모든 육체노동을 대신했다. 시민들이 노예제도로 인해 가사일에서조차 자유로웠다.
;; 그 시대 노예들에게 감사해 해야 겠어요 ㅠ;; 빙산의 일각처럼, 고대 아테네의 발달된 문명과 철학자들을 떠받춰 준, 빙산의 아래 거대한 부분은 바로 이러한 노예들의 피땀어린 희생이 있었기 때문이었네요.ㅜ..
사람들이 농사에 매달리지 않고도 풍요롭게 살 수 있게 되자 생업에서 해방되어 철학사상과 정치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그들은 틈만 나면 마을 광장에 모여 철학과 정치를 논하였다. 사람들이 모여들자 자연히 시장도 형성되었다.
원래 어원이 '모이다'란 뜻의 아고라agora는 그리스 도시국가의 중심에 있는 광장을 의미한다.
;; 늘 무언가의 근원, 발생 원인등이 궁금해 왔는데, 이 권을 통해서, 그간 궁금했던 것에 대해 여러가지가 풀렸다. 역시,
이래서 역사를 알아야 하는구나!!~~, 좋은 책을 알게 되어 무지 기쁘다.
; ;; by 교보문고 '북모닝CEO'에서 온 작가강연회 무료청취권유 메일 받고, 희망의사의 글을 보낸 후, 당첨이 되어서 읽게 됨 ♡
;; 42 T451
300x250'책Book > 일반책독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의식 독서법- 김병완 (0) 2017.05.28 먼 북소리 By Haruki Murakami (0) 2017.05.25 [퀀텀독서법] 김병완 청림출판 2017 (0) 2017.05.19 48분 기적의 독서법, 김병완 저자 (0) 2017.05.15 유클리드가 들려주는 원론 이야기 (0) 2017.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