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577b8ef413b228b8045feff917a229419ec04aa3" /> 수학의 파노라마 :: IRA♧

IRA♧

순수한 열정을 닮고 싶은 배움쟁이

  • 2017. 6. 3.

    by. ariariari

    목차

      300x250

       

       

      the Math

      수학의 파노라마

      피타고라스에서 57차원까지 수학의 역사를 만든 250개의 아이디어

      수학은 아름답다

      클리터드 픽오버 김지선 옮김

      1판 1쇄 펴냄 2015년 2월 25일

      1판 3쇄 펴냄 2015년 7월 17일

      펴낸 곳 (주)사이언스북스

       

       

      감사의 말
      16 맥튜터 수학사 도서관

      매스 트렉 도서관 www.maa.org

       

      기원전 548년 바둑

      44 바둑과 관련된 최고最古의 문헌 기록, 중국 역사서 『좌씨춘추(左氏春秋)』 


      기원전 530년경 피타고라스 학파

      사모스의 피타고라스(Pyhtagoras of Samos, 기원전 580?~500?년)

      46 수학과 신학은 피타고라스 학파 덕분에 서로 만나 꽃을 피웠고, 이후에 그리스의 수많은 종교적 철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어 중세 종교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415년 히파티아의 죽음

      알렉산드리아 히파티아(Hytatia of Alexandria, 370?~415?년)

      80 히파티아 다음으로 유명한 여성 수학자인 마리아 아녜시는 르네상스 시대에 등장한다. 


      1202년 피보나치의 『주판서』

      피사의 레오나르도(Leonardo of Pisa, 1175?~1250?년)

      102 신은 수학자일까? 확실히 우주는 수학을 통해서만 이해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자연은 확실히 수학적이다.


      1509년 황금률

      프라 루카 바르톨로메오 데 파촐리(Fra Luca Bartolomeo de Pacioli, 1445~1517년)

      114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절친한 친구였던 이탈리아의 수학자 루카 파촐리는 1509년에 '신의 비율(Divina Proportione)', 지금은 '황금률(Golden Ratio)'로 널리 알려진 수에 관한 논문을 썼다.

       

      ㅡ손 글씨가 좋다니까 124부턴 손글씨로.^

      1638년 로그 나선

      르네 테카르트(René Descartes, 1596~1650년), 야코프 베르누이(Jacob Bernoulli, 1654~1705년)

      142 로그 나선(Logarithmic Spiral, 등각 나선 혹은 베르누이 나선이라고도 한다)은 자연 세계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어디에나 있으며 식물이나 동물에서 다양하게 볼 수 있다. 로그 나선은 나선 은하의 거대한 은하팔에서도 볼 수 있다.

      i 우와, 자연은 수학이다. 수학은 자연이다.

       

      1665년경 미적분의 발견

      아이작 뉴턴(Isaac Newton, 1642~1727년), 고트프리트 빌헬름 폰 라이프니츠(Gottfried Wilhemlm von Leibniz, 16469~1716년)

      154 오늘날 미적분은 과학 연구의 모든 분야에 침투했고, 어떤 양이 변화하는 모든 분야에서 가능할 수 없을 만큼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적분학은 혁명을 야기했다. 미적분학은 우리가 세상을 보는 방식을 바꾸었다.

       

      1733년 정규 분포 곡선

      172 독일 지폐에 그레진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와 정규 분포 곡선과 공식;

      우와, 신비. 독일 지폐엔 수학자와 공식이 등장하는 구나. 하긴 우리나라 지폐엔 세종대왕, 이황, 이이 등 조선시대 최고의 인문학자들이 나오시니까^^♡

       

      1748년 아녜시의 『이탈리아 청년들을 위한 해석학』

      마리아 가에티나 아녜시(Maria Goetana Agnes, 1718~1799년)

      182 미분학과 적분학을 둘 다 다루는 최초의 통합 교과서이자 여성이 쓴 수학저서로는 현존 최고(最古)의 책인 『이탈리아 청년들을 위한 해석학』

       

      1858년 뫼비우스의 띠

      아우구스트 페르디난트 뫼비우스(August Ferdinand Möbius, 1790~1868년)

      250 독일 수학자 아우구스트 페르디난트 뫼비우스는 수줍음 많고 비사교적인 교수였고, 주의가 산만한 사람이었다. 70세가 다 되어 뫼비우스의 띠(Möbius Strip) 발견.

      ;; 이런 괴팍?^한 분들이 더 많이 끌리고 궁금하다.^ 아녜시도 사교적인 것을 싫어했다 하는데^

       

      1874년 코발레프스카야의 박사 학위

      소피아 코발레프스카야(Sofia Kovalevskaya, 1850~1891년)

      262 훗날 코발레프스카야는 이렇게 썼다. "수학자가 된다는 것은 시인의 영혼을 갖고 있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 ♡

       

      1889년 페아노 공리

      주세페 페아노(Giuseppe Peano, 1858~1932년)

      286 이탈리아 수학자가 참  많으시다.

       

      1900년 힐베르트의 23가지 문제

      다비트 힐베르트(David Hilbert, 1862~1943년)

      300 "수학 분야는 문제들을 풍부하게 제공하는 한 생명력으로 가득할 것이다. 문제가 부족하다는 것은 곧 죽음의 신호이다." ♡

       

      1909년 불의 『철학과 재미있는 대수학』

      메리 에버리스트 불(Mary Everest Bole, 1832~1916년)

      324 조비 불의 아내

       

      1922년 지오데식 돔(Geodeses Dome)

      발터 바우어 펠트(Walther Bauersfeld, 1879~1959년), 리처드 버그민스터 '버키' 풀러 (Richard Buckminster 'Busky' Fuller, 1895~1983년)

      348 지치지 않은 몽상가였던 풀러^^

       

      1971년 에르되시와 극한적 협력

      에르되시 팔(Erdős Pál, 1913~1996년)

      446 수학자들에게 협력과 사회 수학(Social mathematics)'의 가치를 보여주었다.

       

      1974년 초현실수

      존 호턴 콘웨이(John Horton Conway, 1937sus~), 도널드 어빈 커누스(Donald Ervin Knuth, 1938년~)

      458 1974년작 단년소설 『초현실수(Surreal Numbers)』,

      도널스 커누스, 마틴 가드너 『수학의 마술쇼(Mathematical Magic Show)』

       

      1981년 괴물군

      로버트 그리스, 주니어(Robert Louis Griess, 1945년~)

      476 괴물군은 비유하자면, 196,884차원!의 공간에 존재하는 대칭을 1053개(!)이상 가진 눈 돌아가는 눈송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2005년 「넘버스」

      512 니콜라스 팔라치(Nocolas Palacci), 셰린 휴턴(Cheryl Heuton): 부부작가의 손에서 태어난 미국 텔레비전 연속극인 「넘버스(Numbers)」

       

      2007년 수학적 우주 가설

      맥스 테그마크(Max Tegmark, 1967년)

      518 수학은 우주를 설명하는 도구가 아니라 우주 그 자체다.

       

      * 수학은 아름다운 자연이다, 그런데 왜 나에겐 어렵지? ㅜ ^^; 그래도 계속 계속 알고 싶다.

      (그런데, 수학의 파노라마에서 중국관련 1건, 일본관련 2건 등, 동양보단 서양쪽이 더 많네,

      동양수학에 대해서도 알고 싶다. 동양수학자들은 행복하신가?)

       

      -- 어떻게 읽었나: 3백쪽 중순부터 않읽혀서 ㅠ.. 발레하면서 읽었다. 스트레칭 하면서^;

      * 책 읽기 전: 수학 공식 등 하나하나 태초에 생겨난 원리부터 궁금해 그것을 풀어줄 책을 원했는데.. ^^;;

      * 책 읽은 후: 그저 단순한 수학적 업적의 나열이네ㅠ. 하지만 많은 분들을 만날 수 있어서 좋다. 수학 공식들이 나에겐 외계어 같았다. ㅜ

      수학자 자신 또는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가 내 수학적 지식이 부족한 상태에선 더 흥미롭고 재미있었다.

      수학자들이 건강하고 행복하길 바란다.

       

      by 스무살 클레오파트라처럼, 에서~ 수학 과학 관련 독서 권유 내용으로 인하여~

       

      ;;  45 T454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