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300x250사람을 구하는 집,
제 중 원
조선, 새로운 의학을 만나다
박형우, 박윤재
사이언스 북스 www.sciencebooks.co.kr
1판 1쇄 찍음 2010년 2월 1일
1판 1쇄 펴냄 2010년 2월 8일
116 첫 면허 의사들의 독립 운동
김필순은 1911년 말 중국으로 망명해 독립 운동을 펼쳤으며, 그의 일대기는 2008년 8월 문화 방송의 광복절 기념 특집 다큐멘터리 「광야의 의사들」에 소개된 바 있다.
박서양은 1917년 학교를 사임하고 연변으로 망명해 병원을 열고 학교 및 교회를 세워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박서양은 의학 역사 드라마 「제중원」2010년 1월 SBS 방송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이들 7명의 졸업생 중 김필순, 주현측, 신창희, 박서양이 정부로부터 훈장을 받았다.
131 지방의 의학 교육평양, 대구 등 주요 지방 도시에서도 선교사와 일본인에 의해 약간의 의사가 배출되었다.
; 평양 대구ᆞ신기하다. 그땐 남한 북한이 아닌, 조선 우리나라가 한나라였지, 그리고 분단의 슬픔ㅜ
145 북한 의학 교육의 양대 산맥, 평양 함흥
166 난학蘭學으로 통칭되는 서양 학문의 주류는 서양 의학이었다. 18세기 후반에는 서양 해부학 서적을 독사적으로 번역할 정도였다. 서양 의학 수용의 속도는 1868년 메이지 유신을 거치면서 가속화되었다. 군의들은 그 수용성의 가장 선두에 서 있었다.202 보구녀관 감리회 간호원 양성 학교의 첫 가관식 광경
그녀들의 머리에는 수련의 상징인 모자가 씌워졌다. ; 아, 간호사의 모자는 수련의 상징이었구나.~
233 주위 어리신 중에는 호적 나이가 실제보다 두어 살 적은 이들이 있다. 위의 이야기는 그 이유를 설명해 준다. 두창에 걸렸다가 낫지 않은 아이는 내일을 알 수 없으니 호적에 올릴 이유가 없었다. ; 아, 두창이란 병 때문에 그랬구나,~
237 경찰의 우두 사무 개입한국인의 '무지'는 자발적인 우두 접종을 불가능하게 만들어 경찰이 지도하는 강제 접종이 불가피했다.
241 호열자, 한국을 습격하다!한국에 콜레라가 처음으로 침입한 시기는 1821년이었다. 인도의 풍토병이던 콜레라는 19세기 초반 세계로 퍼져 나갔다. 1차 세계대유행이었다.
251 한센병에 대한 관심한센병은 문명의 걸림돌이자 '국가의 치욕'이었다.
;; 한국에서의 의술 역사를 읽다보니, 청나라 등 예전 중국이 선진국이었던 이유는 실크로드를 통한 주변 변방국과의 다양한 교류가 능했던 지리적 원인도 있었겠다 싶다.
보통 인물 평전에서 주변 정황 역사에 대한 내용을 다룰 땐 좀 따분하더니,^; 이러한 의술의 역사를 다루면서 정치등 주변 정황에 대한 얘기를 다루니, 기대하지 않고 의식을 풀어놓아 그런지 -포토리딩 처럼, 눈동자는 한 지점에 고정되어 있지만, 의식은 더 먼곳을 보는 듯한,먼산을 바로보는 - 더 쉽게 흡수가 된다.
그러고 보니, 일제 식민지시대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35년 간, 현재는 1917년. 약 백년전의 이야기들이구나. 우리나라가 분단되기 이전의,
짧다면 짧은..역사, 역사
by 모든 사람을 위한 빅뱅 우주론 강의, 신천 도서관서 찾았을 때, 옆에 놓인 책
;; 71 T480
? ? ? ? ? ? ? ? ? ? ?
300x250'책Book > 일반책독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혹하는 글쓰기 (0) 2017.09.06 나는 도서관에서 기적을 만났다 (0) 2017.08.27 어쩌다 보니 지구 반대편 (0) 2017.08.23 책수련 (0) 2017.08.21 여자도 모르는 여성 호르몬의 모든 것 (0) 2017.08.18